에너지 관련 잡담 (7)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9년 세계 태양광 인버터 판매 순위(HUAWEI, SUNGROW, SMA) Wood Mackenzie의 2019년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 대한 신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Huawei ,Sungrow, SMA가 인버터 판매 Top 3의 위치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들 3개 업체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Top 3 업체로 동일한 순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Fimer는 ABB의 태양광 인버터 사업부를 인수하여 시장 점유율을 크게 넓혔으며, 전세계에서 5번째로 큰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가 되었으며, 최초로 전세계 인버터 판매량 Top 10에 처음으로 진입하였습니다. 북미 시장의 강자인 Power Electronics는 2019년에도 미국 시장 No.1 업체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Sungrow에게 시장 의 일부를 빼앗겼습니다. 전세계 태양광 인버터 시장은 아시아 시장의 .. 코로나 바이러스는 신재생에너지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한국, 일본을 지나 유럽 그리고 미국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집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생활하고 거리는 텅비고 있으며, 전세계의 이동은 멈춰버린 상황입니다. 그리고 많은 전문가와 사람들은 경기 침체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가의 폭락하는 등 많은 사회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전기 사용량, 에너지 수요가 줄어 들고 있으며 이는 지난 2000년대 이후 친환경 에너지로써 전성길르 구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많은 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경기 침체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런 경기 침체는 급격한 에너지 수요 감소를 야기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많은 상점들이 문을 닫고 있으며 이는 조만간 생산.. 우리나라와 해외 태양광 설계의 한가지 차이점(DC와 AC용량) 가끔 해외와 국내 태양광 발전소를 비교하게 되면 기술적인 면부터 사업적인 면까지 참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사업적으로는 사업비를 고려하여 점점 대형화되는 해외 사업과 비교하여 국내의 경우 정부의 장려 정책으로 인하여 점점 소수의 사업자로 쪼개지는 국내 태양광 사업자들에 대한 특성에서부터 기술적으로 기존 전기 안전 규정으로 그대로 도입하여 해외에서 요구하지 않는 수많은 보호 및 차단 기능을 요구하는 DC 및 AC 연계에 대한 규정들, 그리고 이와 반면에 해외에서는 중요하게 요구되는 계통 보조 및 보호를 위한 기능들이 거의 요구되지 않는 점 등(물론 이건 소규모 사업자들이 많고 계통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시공사 및 사업자들의 특성에 기인한 것 같지만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지만, .. 약간은 성급했던 정부의 KS 인증 도입 과정 2월 중순 이후부터 신재생, 특히 태양광 관련 업계에 큰 뉴스가 2가지 였습니다. 첫번째는 국내 태양광 소재 업체인 OCI와 한화가 태양광 기초 소재인 폴리실리콘 사업을 적자를 이유로 접기로 하였습니다. 이것은 최근 낮은 가격을 무기로 전세계에서 경쟁하는 중국 제조사들과의 경쟁 속에서 점점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국내 업체의 현실을 보여주면서 최근 급속하게 성장한 국내 태양광 시장의 이익과 과실을 누가 영위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내놓았습니다. 두번째는 정부에서 태양광 관련 시공 기준 변경을 알리면서 RPS 사업에서 KS 인증 제품 사용 의무화를 3월에 전격 시행을 보도 자료로 발표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현재 KS 인증을 취득하지 못한 또는 취득을 준비하고 있는 업체들은 큰 혼란에 빠졌으며, 결국 너.. 태양광 발전 보급과 발전 원가의 감소 2017년 이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당시 태양광 발전소의 MWh 당 판매단가가 14$로 결정되어 관련 업계의 많은 사람들이 놀라움을 감추지 않았으며, 조만간 태양광 발전의 발전 단가가 화력 발전소와 거의 동등한, 즉 별도의 보조금 없이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Grid Parity가 2030년내에 달성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예측하였습니다. 그리고 2020년 현재 태양광은 2017년과 비교하여 괄목할 정도로 보급되었습니다. 2019년에도 전세계에 120GW의 태양광 발전소가 설치되었으며, 2020년에는 그 규모가 150GW 가까이 달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이런 기세면은 향후 5년 이내에 태양광 발전 설치 규모는 전세계 1테라와트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적으로 보.. 수익성 악화로 인한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들의 사업 다변화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들에게 가격 경쟁 및 단가 인하는 매년 여름 찾아오는 태풍 같은 시련이었지만, 2018년도에는 그 강도가 그 어느 때보다 극심했습니다. 이러한 가격 압박은 세계 TOP 제조사들의 매출이 10% 가량 감소하게 만들었으며, 제조업체들에게 많은 변화를 요구하였습니다. 비록 2018년도 세계 태양광 인버터 출하량은 2017년 대비 10% 가량 늘어지만, 중국 시장의 태양광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하여 업체들의 수익성은 하락하였으며, 이는 2024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제조사들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여 매출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부 인터너 회사들은 태양광 인버터 수익성 기반이 얇아짐에 따라 좀 더 수익성 있는 사업에 집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 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비용과 책임? 요즘 길 가다가 지방, 특히 충청남도 이남 쪽에서 시내가 아닌 지역, 아니 시내인 지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광고 중의 하나가 태양광 관련 분양 광고이다. 아니 서울 변두리라고는 하지만 나름 서울에 사는 내 집에서 200m 정도 떨어져 있는 곳에 붙어져 있는 곳에서 광고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5000만원 투자하여 매달 250만원 20년간 안정정직 수익, 태양광 사업, 정부 지원 보조금 일체 지원" 문구가 딱, 예전에 동네 빌라나, 좀 크게 보면 상가 광고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쌈마이한 내용이어서 나름 웃음이 나곤 한다. 그리고 저걸 보면 과거에는 한전이나 각 발전사에서 하던 발전 사업을 이제는 일반인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면 세상이 참 많이 바뀌고 좋아졌다는 생각과 함께 약간은 보수적이지만..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