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관련 잡담

수익성 악화로 인한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들의 사업 다변화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들에게 가격 경쟁 및 단가 인하는 매년 여름 찾아오는 태풍 같은 시련이었지만, 2018년도에는 그 강도가 그 어느 때보다 극심했습니다. 

 

이러한 가격 압박은 세계 TOP 제조사들의 매출이 10% 가량 감소하게 만들었으며, 제조업체들에게 많은 변화를 요구하였습니다. 비록 2018년도 세계 태양광 인버터 출하량은 2017년 대비 10% 가량 늘어지만, 중국 시장의 태양광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하여 업체들의 수익성은 하락하였으며, 이는 2024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제조사들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여 매출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부 인터너 회사들은 태양광 인버터 수익성 기반이 얇아짐에 따라 좀 더 수익성 있는 사업에 집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왜 가격 압박이 심화되었는가 : 중국 시장 변화에 따른 중국 인버터 업체의 세계 시장 진출

 

지난 2018년 5월 중국 정부는 태양광 정책 변화에 대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태양광 산업에 대한 세금 혜택 감소와 신규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보조금 중단이 결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정책적 변화에 대한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은 감소하였지만, 이는 중국 태양광 시장 수익성 하락으로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들에게 큰 변화의 물결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결국 중국 시장 감소로 이어졌으며, 매출 규모 유지를 위하여 중국 인버터 제조사들은 더욱 공격적으로 세계 시장 확대를 추진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세계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 대한 중국 침공으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경쟁을 하게 도었습니다. 

 

2018년도 중국 인버터 제조사들은 중국을 제외한 세계 시장에서 M/S를 2016년 14%, 2017년 22%, 2018년 28%로 급격히 증가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중국 제조사들은 무역분쟁으로 인한 미국을 제외한 유럽, 남미, 중동 시장을 중심으로 M/S를 확대하고 있는 중입니다. 

 

수익성 악화로 인한 업체들의 전략 변화 : 철수냐? 신규 사업 진출이냐?

 

이로 인하여 각 인버터 제조사들은 그들의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ABB는 전체적인 사업 구조 변화를 추진하면서, 태양광 인버터 사업 부문을 이탈리아의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인 FIMER사에 매각하는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ABB는 태양광 인버터 사업 외에 좀 더 수익성이 높은 전력 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며, FIMER사는 태양광 인버터 제품 라인업 및 시장을 급격히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SMA는 급격한 가격 경쟁으로 인하여 극심한 수익성 감소를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2018년 6천 7백만 유로의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일부 회사들은 가격 경쟁으로 이한 수익성 악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물 인테넛 기반의 플랫폼 사업과 서비스 사업으로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뇌"라고 종종 표현되는 인버터는 태양광 발전소와 계통 간의 접점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IOT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스마트 미터, 가전 기기 및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향후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인버터는 그 독특한 포지션으로 이러한 기기들을 통합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8년 초반, 인버터 제조사이자 전력 시스템 회사인 슈나이더(Schneider)는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시장 및 IOT 사업 영역에 집중하기 위하여 유틸리티 시장에서  철수하였습니다. 또한 독일의 전력 회사인 지멘스(SIMENS) IOT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인 카코의 스트링 인버터 부문과 저장장치 인버터 회사를 인수하였습니다.

 

솔라엣지 역시 인버터르 회사를 넘어 향후 스마트 에너지 회사가 되기 위하여 다양한 인수 합병을 실시하였습니다. 솔라엣지는 가상 발전소 솔루션 회사 만이 아니라 무정전 공급 장치 회사들오 인수하였으며, 배터러 저장장치 업체인 코캄과 가정용 에너지 관리 서비스 사업 강화를 위하여 E-Moblity 회사인 SMRE를 인수하였습니다. 

 

향후 방향과 국내 시장에서의 영향

 

세계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서 가격 경쟁은 향후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며, 이로 인하여 센트럴 인버터와 스트링 인버터로 대변되는 3상 인버터의 매출 규모 및 수익성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수익성 확보를 위한 인버터 제조사들은 노력이 수포로 돌아간다면, 일부 회사들의 경우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국내 태양광 시장의 경우 REC 단가 하락으로 인한 태양광 발전소의 수익성 악화와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환경 상 이러한 단가 하락에 더욱 극심하게 노출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7년 부터 중국계 태양광 인버터 제조사인 HUAWEI, SUNGROW, KSTAR, GOODWE, DELTA 등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 점유율을 급격히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 대규모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도 해외 제품들의 적용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하여 일부 국내 인버터 제조사들이 자체 개발 및 제조를 포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만약, 국내 인버터 제조사들이 이런 급격한 변화에 흐름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결국 국내 태양광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거대한 파도에 휩쓸려 그 경쟁력을 잃고 잠식되어 버릴 것입니다. 

 

참고 자료 및 출허 

GreenTech Media, "Solar Inverter Vendors Expand Services as Price Pressure Intensifies"

https://www.greentechmedia.com/articles/read/inverter-vendors-expand-services-amid-growing-price-pressure

 

Solar Inverter Vendors Expand Services as Price Pressure Intensifies

With revenue for PV inverter vendors dipping in 2018, some vendors are launching or building out internet-of-things platforms as a play to remain profitable.

www.greentechmedia.com

Wood Mackenzie, "The global PV inverter and MLPE landscape 2019"

https://www.woodmac.com/our-expertise/focus/Power--Renewables/inverter-landscape-2019/